본문 바로가기
공대 분야(전기.설비)/소방 설비 산업기사(전기)

2019년 4회차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정답포함)

by 라인I 2020. 10. 2.

1. 알루미늄 분말 화재 시 적응성이 있는 소화약제는?

    마른모래

   포말 강화액

2.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때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수직계획 입면계획

   수평계획 용도계획

3. 화재 발생 시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칼슘카바이드 무기 과산화물류

   마그네슘 분말 염소산염류

4.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소화작용으로 틀린 것은?

   부촉매작용 냉각작용

   유화작용 질식작용

5. 부피비로 질소가 65%, 수소가 15%, 이산화탄소가 20%로 혼합된 전압이 760mmHg인 기체가 있다. 이 때 질소의 분압은 약 몇 mmHg인가? (, 모두 이상기체로 간주한다.)

   152 252

   394 494

6. 산소와 질소의 혼합물인 공기의 평균 분자량은? (, 공기는 산소 21vol%, 질소 79vol%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30.84 29.84

   28.84 27.84

7. 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일러 폭발은 화학적 폭발이라 할 수 없다.

   분무 폭발은 기상 폭발에 속하지 않는다.

   수증기 폭발은 기상 폭발에 속하지 않는다.

   화약류 폭발은 화학적 폭발이라 할 수 있다.

8. 연기의 물리화학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을 의미한다.

   연기의 색상은 연소물질에 따라 다양하다.

   연기는 기체로만 이루어진다.

   연기의 감광계수가 크면 피난 장애를 일으킨다.

9. 1석유류는 어떤 위험물에 속하는가?

   산화성 액체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금수성 물질

10. 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수소결합성 물질로서 비점이 높고 비열이 크다.

    100의 액체 물이 100의 수증기로 변하면 체적이 약 1600베 증가한다.

    유류화재에 물을 무상으로 주수하면 질식효과 이외에 유탁액이 생성되어 유화효과가 나타난다.

    비극성 공유 결합성 물질로 비점이 높다.

11. 고가의 압력탱크가 필요하지 않아서 대용량의 포 소화설비에 채용되는 것으로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은?

    프레셔 프로포셔너 방식(pressure proportioner type)

    프레셔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pressure side proportioner type)

    펌프 프로포셔너 방식(pump proportioner type)

    라인 프로포셔너 방식(line proportioner type)

12. 질식소화방법에 대한 예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매체를 화염 속에 투입한다.

    열용량이 큰 고체물질을 이용하여 소화한다.

    중질유 화재 시 물을 무상으로 분무한다.

    가연성기체의 분출화재 시 주 밸브를 닫아서 연료공급을 차단한다.

13. 건축물 화재 시 플래시오버(flash over)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내장재료 개구율

    화원의 크기 건물의 층수

14. 1류 위험물로서 그 성질이 산화성고체인 것은?

    셀룰로이드류 금속분류

    아염소산염류 과염소산

15. 증기비중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값은?

   

    15 21

    22.4 29

16. 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2석유류, 3석유류, 4석유류를 각 품명 별로 구분하는 분류의 기준은?

    발화점 인화점

    비중 연소범위

17. 전기화재가 발생되는 발화 요인으로 틀린 것은?

    역률 합선

    누전 과전류

18. 자연발화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열전도율이 낮을 것 발열량이 클 것

    주의의 온도가 높을 것 표면적이 작을 것

19. 다음 중 가스계 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포 소화약제

    청정 소화약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20. 화씨온도 122는 섭씨온도로 몇 인가?

    40 50

    60 70

 

2과목 : 소방전기회로

21. 문자기호화 명칭이 틀린 것은?

    CB:단로기 ZCT:영상변류기

    MC:전자접촉기 THR:열동계전기

22. 그림과 같은 피드백 제어계의 페루프 전달함수는?

23. 다음 회로에서 저항 R에 흐르는 전류(A)? (, 저항의 단위는 모두 Ω이다.)

   

    2.15 1.42

    0.7 0

24. 2차 전압이 220V인 옥내 변전소에서 스프링클러 설비의 수신반에 전기를 공급하고있다. 스프링클러 수신반의 수전 전압이 216V인 경우 변전소에서 수신반까지의 전압강하율은 약 몇 %인가?

    1.74 1.79

    1.82 1.85

25. 급수펌프가 교류 3장 평형 Y결선으로 운전되고 있다. 상전압의 크기가 220V, 선전류는 8+j6(A)일 때, 유효전력 P(W)와 무효전력 Q(var)?

    2488W, 1866var 3048W, 2286var

    4310W, 3233var 5280W, 3960var

26. 6F4F의 커패시터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접압 30V를 가했을 때, 6F의 커패시터 단자전압 V1은 몇 V인가?

   

    10 12

    15 18

27. 직류전압계와 전류계를 사용하여 부하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자 할 때 연결 방법으로 옳은 것은?

    전압계는 부하와 직렬, 전류계는 부하와 병렬

    전압계는 부하와 병렬, 전류계는 부하와 직렬

    전압계, 전류계 모두 부하와 병렬

    전압계, 전류계 모두 부하와 직렬

28. 다음 논리식 중 성립하지 않는 것은?

    A+A=A

    AA=A

    Aㆍ/A=1

    A+/A=1

29. BJT(bipolar junction transisitor)의 베이스에 대한 컬렉터 전류이득 β80일 때 이미터에 대한 컬렉터 전류이득 α는 약 얼마인가?

    0.99 0.92

    0.90 1

30. 그림의 회로에서 저항 20Ω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0.5 1.0

    1.5 2.0

31. 부저항 특성을 갖는 서미스터의 저항값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감소 증가

    증가하다가 감소 감소하다가 증가

32. 동선의 길이는 2배로, 전선의 단면적은 1/2로 되었다. 이 때 저항은 처음의 몇 배가 되는가? (, 체적은 일정하다.)

    2 4

    8 16

33. 전달함수

에 대한 특성방정식의 근은?

    1, 4 -1, -4

    1, 5 -1, -5

34. 0.1H인 코일의 리액턴스가 377Ω일 때 주파수(Hz)?

    100 200

    400 600

35.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정전력이라고 한다. 이 정전력이 두 전하(전기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성질을 무슨 법칙이라고 하는가?

    패러데이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

    쿨룽의 법칙 가우스 법칙

36. 목표값이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경우의 제어를 무슨 제어라고 하는가?

    추종제어 정치제어

    비율제어 시퀀스제어

37. 정전용량이 500μF인 콘덴서 220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정전에너지는 약 몇 J인가?

    12 24

    36 48

38. 제어시스템에서 제어요소는 다음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는가?

    검출부와 조작부 조작부와 조절부

    검출부와 조절부 명령부와 검출부

39. 전류에 의한 자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은?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

    플레밍의 오른손의 법칙

    비오 사바르 법칙

    렌츠의 법칙

40. 논리식 A(A+B)를 간단히 하면?

    A B

    AB A+B

 

3과목 : 소방관계법규

41. 특정소방대상물의 건축대수선용도변경 또는 설치 등을 위한 공사를 시공하는 자가 공사 현장에서 인화성 물품을 취급하는 작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을 하기 전에 설치하고 유지관리해야 하는 임시소방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 용접용단 등 불꽃을 발생시키거나 화기를 취급하는 작업이다.)

    간이소화장치 비상경보장치

    자동확산소화기 간이피난유도선

4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및 지정수량에 대한 기준 중 ()안에 알맞은 것은?

   

    150, 50 ② ㉠ 53, 50

    ③ ㉠ 50, 150 ④ ㉠ 50, 53

43. 소방기본법상 관계인의 소방활동을 위한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00만원 이하의 벌금 200만원 이하의 벌금

    300만원 이하의 벌금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분류로 틀린 것은?

    카지노영업소-위락시설

    박물관-문화 및 집회시설

    물류터미널-운수시설

    변전소-업무시설

4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 또는 일반 취급소의 위험물취급탱크 노즐 또는 맨홀을 신설하는 경우, 노즐 또는 맨홀의 직경이 몇 mm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250 300

    450 600

46.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시행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자위소방대의 구성운영교육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

4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무창층으로 판정하기 위한 개구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틀린 것은?

    크기는 반지름 30cm 이상의 원리 내접할 수 있을 것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및 부분까지 높이가 1.2m 이내일 것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4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정하는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가스누설경보기

    방염성물질

49.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기술자격자의 범위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술자격자?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설비산업기사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설비기사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전기기사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시설관리사 및 소방기술사

50. 소방시설공사업자는 소방시설착공신고서의 중요한 사항이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서류를 첨부하여 변경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7 15

    21 30

51. 소방기본법상 소방의 역사와 안전문화를 발전시키고 국민의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소방체험관을 설립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자는? (, 소방체험관은 화재 현장에서의 피난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관을 말한다.)

    행정안전부장관 소방청장

    도지사 소방본부장

52. 화재안전기준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는 특수한 용도 또는 구조를 가진 특정소방대상물인 원자력발전소, 핵폐기물처리시설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은?

    옥내소화전설비 및 소화용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및 연결살수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및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및 불문무등소화설비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제3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나트륨 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유기과산화물

54. 다음 중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이 아닌 것은?

    연면적 15000m2 이상인 공장

    층수가 11층 이상인 업무시설

    지하구

    가연성 가스를 1000톤 이상 저장취급하는 시설

55. 다음 중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 지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공장지역

    시장지역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소방용수시설이 없는 지역

56. 성능위주설계를 할 수 있는 자의 기술인력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소방기술사 1명 이상 소방기술사 2명 이상

    소방기술사 3명 이상 소방기술사 4명 이상

57. 소방기본법렵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가연물의 품명별 수량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연성고체류:2m3 이상

    목재가공품 및 나무부스러기:5m3 이상

    석탄목탄류:3000kg 이상

    면화류:200kg 이상

58. 시장지역에서 화재로 오인할 만한 우려가 있는 불을 피우거나 연막 소독을 한 자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를 하지 아니하여 소방자동차를 출동하게 한 때에 과태료 부과 금액 기준으로 옳은 것은?

    20만원 이하 50만원 이하

    100만원 이하 200만원 이하

59. 제조소등의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고자 하는 자는 설치허가 또는 변경허가신청서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소방청장 도지사

60. 보일러, 난로, 건조설비, 가스전기시설, 그 밖에 화재 발생 우려가 있는 설비 또는 기구 등의 위치구조 및 관리와 화재 예방을 위하여 불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하는 사항은 다음 중 어느 것으로 정하는가?

    대통령령 총리령

    행정안전부령 소방청훈령

 

4과목 :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른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 음향장치의 설치 기준이다.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80, 1, 90 ② ㉠ 110, 3, 120

    ③ ㉠ 140, 1, 120 ④ ㉠ 150, 3, 90

62.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Z 104)에 따른 물분무소화설비의 비상전원을 자가발전설비 또는 축전지설비로 설치하고자 할 때 그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물분무소화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비상전원(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기를 제외)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사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63.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5)에 따른 누전경보기의 전원과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여야 한다.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을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

    전원을 분기할 때에는 다른 차단기에 따라 전원이 동시에 차단되어야 한다.

64.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설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비상방송용 확성기를 각 층마다 설치하였다.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별도의 음향장치를 설치하였다.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므로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하였다.

    실내에 설치된 비상방송용 확성기의 음성입력을 확인해 보니 2W 이었다.

65.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따른 증폭기의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여야 한다.

    증폭기의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 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66. 비상조명등의 화재안전기준(NFSC 304)에 따른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5m 이상 1.2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67.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 따른 거실통로유도등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거실의 출입구에 설치할 것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할 것

    구부러진 모퉁이 및 수평거리 10m 마다 설치할 것

    거실의 통로가 벽체 등으로 구획된 경우에는 비상구유도등을 설치할 것

68.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정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높이는? (, 천장의 높이가 1m 초과인 경우이다.)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

    바닥으로부터 1.0m 이상 1.5m 이하

    바닥으로부터 1.5m 이상 2.0m 이하

    바닥으로부터 2.0m 이상 2.5m 이하

69.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상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도 되는 유도등은?

    객석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복도통로유도등

70.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 따라 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는?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출입구

    바닥면적이 800m2인 층으로서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외부의 식별이 용이한 경우에 한한다.)

    거실 각 부분에서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15m 이고 비상조명등과 유도표지가 설치된 거실의 출입구

    출입구가 4개 있는 거실 각 부분에서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25m인 주된 출입구 2개소 외의 출입구를 가진 숙박시설

71.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호환선형 수신부는 신호입력회로에 공칭작동전류치의 42%에 대응하는 변류기의 설계출력전압을 가하는 경우 몇 초 이내에 동작하지 아니해야 하는가?

    0.2 1

    30 60

72.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따라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몇 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5 10

    30 60

7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4)에 따라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어떤 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하는가?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74.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 따라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 그 실내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유도등 실내조명등

    비상조명등 휴대용비상조명등

7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수신기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76.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른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 제외 기준이다.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 1 ② ㉠ 2, 3

    ③ ㉠ 3, 2 ④ ㉠ 3, 3

77.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른 발신기에 대한 용어의 정의이다.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수동 자동

    전기적 기계적

78.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부착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에 설치할 수 없는 감지기는?

    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이온화식 1 보상식 스포트형

79.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라 가로 28m 세로 16m 인 어느 특정소방대상물의 구획된 공간에는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몇 개 설치하여야 하는가? (, 내부 구획된 공간은 없으며 벽체의 상부 또는 일부가 개방된 곳이 없는 공간이다.)

    3 5

    7 11

80.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 따라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직류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이다.)

    0.2 2

    20 200

 

문제가 이해되지 않거나 더많은 기출문제를 보고싶으면 책을 구매하시는게 더 좋습니다(추천 필기책) 소방설비산업기사 과년도 기출문제(전기편/필기)(2020):2007~2019년 기출문제 및 해설 수록! 최근 10년간 출제현황표 수록!, 시대고시기획 [성안당]소방설비산업기사 필기(전기. 3)(초스피드 기억법+본문 및 과년도+요점노트)(개정판) (최근 개정법령 반영 100% 상세한 해설 요점노트 해설가리개 제공), 성안당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