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극성 분자이다.
② 수소결합을 하고 있다.
③ 아세톤, 벤젠보다 증발 잠열이 크다.
④ 아세톤, 구리보다 비열이 작다.
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3류 위험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Ca ② K
③ Na ④ Al
3. Halon 1301의 화학삭에 포함되지 않는 원소는?
① C ② Cl
③ F ④ Br
4. 어떤 기체의 확산 속도가 이산화탄소의 2배였다면 그 기체의 분자량은 얼마로 예상할 수 있는가?
① 11 ② 22
③ 44 ④ 88
5.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인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하는 것은?
① 나트륨 ② 아세톤
③ 마그네슘 ④ 탄화칼슘
6. 다음 중 가연성 물질이 아닌 것은?
① 프로판 ② 산소
③ 에탄 ④ 암모니아
7. 물과 접촉하면 벌열하면서 수소기체를 발생하는 것은?
① 과산화수소 ② 나트륨
③ 황린 ④ 아세톤
8. 가연물이 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산화되기 쉬울 것
② 산소와의 친화력이 클 것
③ 활성화 에너지가 클 것
④ 열전도도가 작을 것
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를 구분하는 기준은?
① 인화점 ② 발화점
③ 비점 ④ 녹는점
10. 표준상태에서 44.8m3의 용적을 가진 이산화탄소가스를 모두 액화하면 몇 kg 인가? (단, 이산화 탄소의 분자량은 44이다.)
① 88 ② 44
③ 22 ④ 11
11. 기계적 열에너지에 의한 점화원에 해당되는 것은?
① 충격, 기화, 산화 ② 촉매, 열방사선, 중합
③ 충격, 마찰, 압축 ④ 응축, 증발, 촉매
12. 연소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점화원 ② 연쇄반응
③ 가연물질 ④ 산소공급원
13. 건축물 내부 화재 시 연기의 평균 수평이동속도는 약 몇 m/s 인가?
① 0.01 ~ 0.05 ② 0.5 ~ 1
③ 10 ~ 15 ④ 20 ~ 30
14. 가연성 기체의 일반적인 연소범위에 관한 설명으로서 옳지 못한 것은
① 연소범위에는 상한과 하한이 있다.
② 연소점위에는 값은 공기와 혼합된 가연성 기체의 체적 농도로 표시된다.
③ 연소범위의 값은 압력과 무관하다.
④ 연소범위는 가연성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15. 칼륨 화재 시 주수소화가 적응성이 없는 이유는?
① 수소가 발생되기 때문
② 아세틸렌이 발생되기 때문
③ 산소가 발생되기 때문
④ 메탄가스가 발생하기 때문
16. 건축법령상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붕틀 ② 내력벽
③ 주계단 ④ 최하층 바닥
17. A급화재의 해당하는 가연물이 아닌 것은?
① 섬유 ② 복재
③ 종이 ④ 유류
18.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갖는 주된 소화 효과는?
① 유화소화 ② 질식소화
③ 제거 소화 ④ 부촉매소화
19. 다음의 위험물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수량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알킬알루미늄 ② 황황린
③ 유기과산화물 ④ 질산에스테르류
20. 질소(N2)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분자량은 29 이다.)
① 0.8 ② 0.97
③ 1.5 ④ 1.8
2과목 : 소방전기회로 |
21. 3㎌의 커패시터를 4kV로 충전하였을 때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는 몇 J 인가?
① 4 ② 8
③ 16 ④ 24
22. 회로에서 전류 l는 약 몇 A인가?
① 7.69+j11.5 ② 7.69-j11.5
③ 11.5+j7.69 ④ 11.5-j7.69
23. 논리식 A・(A+B)를 간단히 하면?
① A ② B
③ A・B ④ A+B
24. 저항이 0.1Ω인 도체에 220V의 전압이 가해졌다면,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몇 kA인가?
① 1.1 ② 2.2
③ 11 ④ 22
25. 공기 중에 50A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무한 직선 도체로부터 2m 떨어진 곳에서의 자기장세기는 약 몇 AT/m인가?
① 31.84 ② 15.92
③ 7.96 ④ 3.98
26. 자기력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기력선은 상호 간에 교차한다.
② 자석의 N극에서 시작하여 S극에서 끝난다.
③ 자기력선의 밀도는 자계의 세기와 같다.
④ 자계의 방향은 자기력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 방향이다.
27. 어떤 전압계의측정 범위를 19배로 하려면 배율기의 저항 RM과 전압계의 내부저항 RV의 관계는?
28. 교류회로에서 8Ω의 저항과 6Ω의 유도리액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었을 때 역률은?
① 0.4 ② 0.5
③ 0.6 ④ 0.8
29. 회로의 유효전력이 3000W, 무효전력이 4000var이면 피상전력(VA)은?
① 3000 ② 4000
③ 5000 ④ 6000
30. i1(t)=Imsinωt(A)와 i2(t)=Imcosωt(A)가 있다. 두 전류의 위상차는 몇 도 인가?
① 0° ② 30°
③ 60° ④ 90°
31.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과대한 부하전류에 의하여 다이오드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경우 적당한 대책은?
①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한다.
② 다이오드를 병렬로 추가한다.
③ 다이오드릐 양단에 적당한 값의 저항을 추가한다.
④ 다이오드릐 양단에 적당한 값의 콘덴서를 추가한다.
32. 5Ω, 10Ω, 25Ω의 저항 3개를 직렬로 접속하고 8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A)와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 V5(V), V10(V), V25(V)는 각각 얼마인가?
① I=1A, V5=10V, V10=20V, V25=50V
② I=2A, V5=10V, V10=20V, V25=50V
③ I=1A, V5=15V, V10=25V, V25=40V
④ I=2A, V5=15V, V10=25V, V25=40V
33. 뱐압기의 1차 측 전압이 3000V, 1차 측 권선수가 995회인 변압기의 2차 측 전압이 약 380V인 경우 2차 측 권선수는 몇 회인가?
① 126 ② 285
③ 570 ④ 1140
34. DC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① 쇼트키다이오드 ② 터널다이오드
③ 제너다이오드 ④ 버랙터다이오드
35.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의 전달함수 (C(s)/R(s))는?
36. 교류를 직류로 바꿔주는 변환장치는?
① 정류기 ② 변압기
③ 유도기 ④ 전동기
37. 동작신호와 조작량 사이에서 연속적인 관계가 아닌 조절(제어) 동작은?
① 비례 제어 ② 비례 미분 제어
③ 비례 적분 제어 ④ 2위치 제어
38. 논리 게이트 중 두 입력이 1과 0일 때 출력이 1이 아닌 것은?
① NAND 게이트 ② OR 게이트
③ EXCLUSIVE-OR 게이트 ④ NOR 게이트
39. 3상 회로를 2전력계 방법으로 측정하였더니 각각 3kW, 1kW를 지시하였다. 이 회로의 3상 유효전력은 몇 kW인가?
① 1 ② 2
③ 3 ④ 4
40. 온도, 유량, 압력 등의 공업공정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시스템으로서 공업공정에 가해지는 외란의 억제를 주목적으로 하는 제어는?
① 프로세스제어 ② 프로그램제어
③ 서보기구 ④ 추치제어
3과목 : 소방관계법규 |
41. 소방기본법령상 동원된 소방력의 운용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자는? (단, 동원된 소방력의 소방활동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비 및 동원된 민간 소방 인력이 소방활동을 수행하다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은 경우와 관련된 사항은 제외한다.)
① 대통령 ② 소방청장
③ 시∙도지사 ④ 행정안전부장관
4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 중 교육연구시설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① 도서관 ② 초등학교
③ 직업훈련소 ④ 자동차운전학원
43.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발화신호 ② 해제신호
③ 훈련신호 ④ 소화신호
4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3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① 칼륨 ② 황린
③ 나트륨 ④ 마그네슘
4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등을 할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① 연면적이 200m2인 노유자시설 및 수련시설
② 연면적이 300m2인 업무시설로 사용되는 건축물
③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10대를 주차할 수 있는 시설
④ 차고∙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이 150m2인 층이 있는 건축물
4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 중 숙박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학교 기숙사
② 일반형 숙박시설
③ 생활형 숙박시설
④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않은 고시원
4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산화성 고체이며 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① 칼륨 ② 황화린
③ 염소산염류 ④ 유기과산화물
4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에 전기설비(전기배선, 조명기구 등은 제외 )가 설치된 장소의 면적이 300m2일경우, 소형수동식소화기는 최소 몇 개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49.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서 종합상황실의 실장이 서면∙모사전송 또는 컴퓨터통신 등으로 소방본부의 종합상황실에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하는 화재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이재민이 50인 이상 발생한 화재
② 재산피해액이 50억원 이상 발생한 화재
③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
④ 사망자가 5인 이상 발생하거나 사상자가 10인 이상 발생한 화재
50. 소방기본법령상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지역이 아닌 것은? (단, 소방청장∙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별도로 지정한 지역은 제외한다.)
① 시장지역
② 석조건물이 있는 지역
③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 시설이 밀집한 지역
④ 석유화학제품을 생상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5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되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건축허가등의 동의대상에서 제외되게 하는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단, 설치되는 소방시설은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다.)
① 유도표지 ② 누전경보기
③ 비상조명등 ④ 인공소생기
5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 관리사의 결격사유가 아닌 것은?
① 피성년후견인
② 소방기본법령에 따른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 한 사람
③ 소방시설공사업법령에 따른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이 지난 후 2년이 지나니 아니한 사람
④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관리사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이 취소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53.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상주 공사감리의 대상기준 중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① ㉠ 30000, ㉡ 16, ㉢ 500
② ㉠ 30000, ㉡ 11, ㉢ 300
③ ㉠ 50000, ㉡ 16, ㉢ 500
④ ㉠ 50000, ㉡ 11, ㉢ 300
54. 소방기본법령상 국가가 시∙도의 소방업무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하는 국고보조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소방자동차 구입
② 소방용수시설 설치
③ 소방전용통신설비 설치
④ 소방관서용 청사의 건축
5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사림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① 업무시설로서 바닥면적이 1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② 문하 재보호법에 따라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③ 노유자 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노유자 시설로서 바닥면적이 3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④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건축물만 해당)로서 바닥면적이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5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점포에서 위험물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기 위하여 지정수량의 40배 이하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의 취급소 구분으로 옳은 것은? (단, 위험물을 제조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장소이다.)
① 이송취급소 ② 일반취급소
③ 주유취급소 ④ 판매취급소
5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청장 또는 시∙도지사가 창문을 하여야 하는 처분이 아닌 것은?
①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의 정지
②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의 취소
③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취소
④ 소방용품의 형식승인 취소
58.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이 소방시설공사가 공사감리 결과보고서대로 완공되었는지를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① 판매시설
② 문화 및 집회시설
③ 11층이상인 아파트
④ 수련시설 및 노유자시설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시∙도지사는 관리업자에게 영업정지를 명하는 경우로서 그 영업정지가 국민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최대 얼마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가?
① 1000만원 ② 2000만원
③ 3000만원 ④ 5000만원
60. 소방기본법령상 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차량 ② 건축물
③ 운항 중인 선박 ④ 선박 건조 구조물
4과목 :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
6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감지기를 설치 시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① 6 ② 20
③ 50 ④ 100
62.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누전경보기 중 1급 누전경보기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몇 A를 초과하는 전로에 설치하는가?
① 50 ② 60
③ 100 ④ 120
63.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바닥면적 70m2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열전대식 차동식 분포형감지기의 열전대부는 몇 개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2 ② 3
③ 4 ④ 5
64.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으로(NFSC 202)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음량조정기를 걸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할 것
②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을 할 것
③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5m이상 1.2m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④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 한 후 필요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20초 이하로 할 것
6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배선의 설치기준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 50, ㉡ 85 ② ㉠ 40, ㉡ 80
③ ㉠ 40, ㉡ 85 ④ ㉠ 50, ㉡ 80
66.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 따른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 110, ㉡ 1.5 ② ㉠ 110, ㉡ 3.0
③ ㉠ 220, ㉡ 1.5 ④ ㉠ 220, ㉡ 3.0
67.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따른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 등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누설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 또는 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로 구성 할 것
② 누설동축케이블은 불연 또는 난연성의 것으로서 온도에 따라 전기의 특성이 변질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할 것
③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금속판 등에 따라 전파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 할 것
④ 소방전용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소방대 상호간의 무선연락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용도와 겸용할 수 있다.
68. 화재안전기준(NFSC)에 따라 소방설비를 유효하게 작동하게 하는 비상전원의 최소 용량이 20분이 아닌 것은? (단, 감시상태의 시간은 제외하고, 지하층, 무창층 및 지하상가가 아닌 경우이다.)
①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설비
②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미만의 층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유도등
③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미만의 층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조명등
④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미만의 층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경보설비
69.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 따른 객석유도등의 설치장소로 틀린 것은?
① 벽 ② 바닥
③ 천장 ④ 통로
70.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라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한 경우에 면제할 수 있는 것은?
① 발신기 ② 수신기
③ 감지기 ④ 지구음향장치
71.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에 따른 용어의 정의 중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전달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① 확성기 ② 증폭기
③ 변류기 ④ 음량조절기
72.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① 변류기, 감지기, 수신부, 차단기구
② 발신기, 변류기, 수신부, 음향장치
③ 수신부, 변류기, 중계기, 음향장치
④ 음향장치, 수신부, 변류기, 차단기구
73.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에 종단저항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① 도통시험을 하기 위하여
② 작동시험을 하기 위하여
③ 전원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④ 작동중인 감지기를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74.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따른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임피던스 값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반사가 발생하여 노이즈에 의한 통신감도가 떨어지므로 특성임피던스 값을 몇 Ω 으로 정합(Matching)시켜 주어야 하는가?
① 30 ② 50
③ 75 ④ 100
75.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선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속보기의 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 10, ㉡ 2 ② ㉠ 20, ㉡ 2
③ ㉠ 10, ㉡ 3 ④ ㉠ 20, ㉡ 3
76. 비상조명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사용전원전압의 몇 % 범위안에서는 비상조명등 내부의 온도상승이 그 기능에 지장을 주거나 위해를 발생시킬 염려가 없어야 하는가?
① 80 ② 110
③ 125 ④ 140
77.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 따른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의 발신기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5m 이상 1.2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②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25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 할 것
③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④ 발신기의 위치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 면으로 부터 15°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78.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에 따른 특별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 비상전원 수전설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큐비클형 ② 옥외개방형
③ 내화구조형 ④ 방화구획형
79.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에 따른 광원점등방식의 피난유도선에 대한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부착대에 의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것
② 수신기로부터의 화재신호 밑 수동조작에 의하여 광원이 점등되도록 설치 할 것
③ 피난유도 표시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 면에 설치 할 것
④ 피난유도 표시부는 50cm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하되 실내장식물 등으로 설치가 곤란할 경우 1m 이냐로 설치 할 것
80.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 따은 용어의 정의로서 틀린 것은?
① 교류 620V는 저압이다.
② 교류 440V는 저압이다.
③ 직류 740V는 저압이다.
④ 교류 6600V는 고압이다.
문제가 이해되지 않거나 더많은 기출문제를 보고싶으면 책을 구매하시는게 더 좋습니다(추천 필기책)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공대 분야(전기.설비) > 소방 설비 산업기사(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4회차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정답포함) (0) | 2020.11.03 |
---|---|
2019년 1회차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정답포함) (0) | 2020.10.16 |
2019년 2회차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정답포함) (0) | 2020.10.06 |
2019년 4회차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정답포함) (0) | 2020.10.02 |
2020년 1회차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정답포함) (0) | 2020.09.28 |
댓글